맨위로가기

고령 박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령 박씨는 신라 경명왕의 둘째 아들 고양대군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조선 시대에 문과 급제자 56명, 상신 1명, 청백리 4명을 배출했으며, 박씨 대종친회를 이루고 있다. 어사공 박섬, 부창정공 박환, 주부공 박연을 중시조로 하는 3파로 나뉘며, 주요 인물로는 박은, 박문수, 박정희, 박근혜 등이 있다. 울산 울주군, 이천, 양평, 서천, 고령, 성주, 의령, 합천 등에 집성촌이 있으며, 2015년에는 43,774명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령 박씨 - 박병석
    박병석은 중앙일보 기자 출신으로 6선 국회의원과 제21대 국회 전반기 국회의장을 지낸 대한민국의 정치인이다.
  • 고령 박씨 - 박근령
    박근령은 박정희 전 대통령의 딸로, 육영재단 이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한나라당에 입당하여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았고, 2022년 대통령 선거 출마를 선언했다.
고령 박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가문명고령 박씨
종류왕가
국가조선
영지고령군
시조박언성
저명한 인물박문수
박성빈
박상희
박정희
박병석
박근혜
박근령
박지만
각주신라오릉보존회
한글 표기고령 박씨
한자 표기高靈朴氏
가타카나 표기코령 박시
로마자 표기Goryeong Bakssi
원시조박혁거세
중시조박섬
박환
박연
인물박은
박공량
박경업
박장원
박태한
박항한
박문수
박영원
박성빈
박상희
박정희
박재윤
박재홍
박준홍
박병석
박재옥
박근혜
박덕배
박영균
년도2015
인구43,774명
고령 박씨의 종문.

2. 역사

고령 박씨(高靈 朴氏) 시조 박언성(朴彦成)은 박혁거세의 29세손인 신라 경명왕의 둘째 아들 고양대군(高陽大君)이다.[2] 조선시대에 문과 급제자 56명, 상신 1명, 청백리 4명을 배출하였다.[2]

밀양 박씨, 함양 박씨, 죽산 박씨, 상산 박씨, 전주 박씨, 순천 박씨, 월성 박씨, 울산 박씨, 녕해 박씨, 강릉 박씨, 경주 박씨와 함께 박씨대종친회(신라오릉보존회)를 이루고 있다.[2]

3. 분파

고령 박씨는 어사공 박섬, 부창정공 박환, 주부공 박연을 중시조로 하는 3파가 형성되었다.


  • 어사공파(御史公派)
  • 부창정공파(副倉正公派)
  • 주부공파(主簿公派)
  • 사정공파(司正公派)

3. 1. 주요 분파

고령 박씨는 어사공(御史公) 박섬, 부창정공(副倉正公) 박환, 주부공(主簿公) 박연을 중시조로 하는 3개의 파가 형성되었다.

  • 교수공파(敎授公派)
  • 영참판공파(嶺參判公派)
  • 직강공파(直講公派)
  • 승지공파(承旨公派)
  • 경참판공파(京參判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읍취헌공파(挹翠軒公派)
  • 사정공파(司正公派)
  • 현감공파(縣監公派)
  • 무숙공파(武肅公派)
  • 감사공파(監司公派)
  • 참의공파(參議公派)
  • 판관공파(判官公派)
  • 소윤공파(少尹公派)
  • 우윤공파(右尹公派)
  • 백산공파
  • 어사공파(御史公派)
  • 부창정공파(副創正公派)
  • 주부공파(主簿公派)

4. 인물

고령 박씨는 조선 시대와 근현대에 걸쳐 여러 주요 인물을 배출했다. 조선 시대에는 56명의 문과 급제자, 1명의 상신, 4명의 청백리를 배출했다.[4]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고령 박씨가 박씨 전체 인구의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4. 1. 조선시대 주요 인물


  • 박은(1479년 ~ 1504년): 1496년(연산군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자, 수찬, 경연관을 지냈으나 갑자사화 때 사형당했다. 1507년(중종 2) 신원되고 도승지로 추증되었다.[4]
  • 박공량(? ~ 1556년): 1538년(중종 33)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때 공조참판을 거쳐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4]
  • 박경업(1568년 ~ ?): 1594년(선조 2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지평·장령·사간원정언 등을 지냈다.[4]
  • 박장원(1612년 ~ 1671년): 현종 때 이조판서, 공조판서, 대사헌, 예조판서, 한성부 판윤, 개성부 유수를 지냈다.[4]
  • 박문수(1691년 ~ 1756년): 1723년(경종 3) 증광 문과에 급제해 병조판서, 황해도수군절도사, 호조판서, 판의금부사,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우참찬에 올랐다. 소론에 속하였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4]
  • 박영원(1791년 ~ 1854년): 1816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철종 때 좌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4]

4. 2. 근현대 주요 인물

4. 3. 기타 인물


  • 박은(1479년 ~ 1504년) : 1496년(연산군 2)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정자, 수찬, 경연관을 지냈으나 갑자사화 때 사형 당했다. 1507년(중종 2) 신원되고 도승지로 추증되었다.
  • 박공량(? ~ 1556년) : 1538년(중종 33) 별시 문과에 급제하여 명종 때 공조참판을 거쳐 첨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 박경업(1568년 ~ ?) : 1594년(선조 27)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사헌부지평·장령·사간원정언 등을 지냈다.
  • 박장원(1612년 ~ 1671년) : 현종 때 이조판서, 공조판서, 대사헌, 예조판서, 한성부 판윤, 개성부 유수를 지냈다.
  • 박문수(1691년 ~ 1756년) : 1723년(경종 3) 증광 문과에 급제해 병조판서, 황해도수군절도사, 호조판서, 판의금부사, 예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우참찬에 올랐다. 소론에 속하였다. 시호는 충헌(忠憲)이다.
  • 박영원(1791년 ~ 1854년) : 1816년 식년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철종 때 좌의정에 이르렀다. 시호는 문익(文翼)이다.
  • 박정희(1917년 ~ 1979년) : 대한민국 제5·6·7·8·9대 대통령
  • 박재윤(1941년 ~ ) : 제38대 재무부 장관
  • 박근혜(1952년 ~ ) : 대한민국 제18대 대통령
  • 박병석(1952년 ~ ) : 제16~21대 국회의원, 제21대 전반기 국회의장
  • 기타 인물: 박문수, 박성빈, 박귀희, 박재홍, 박상희, 박영옥, 박준홍, 박정희, 박근혜, 박근령, 박지완


조선 시대에 56명의 문과 급제자, 1명의 상신, 4명의 청백리를 배출했다.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는 가구 수 12301가구, 총인구 39239명으로 박씨 전체 인구의 1.0%를 차지한다.[4]

5. 항렬자

고령 박씨 항렬표 (시중공파, 유수공파, 문열공파)
26세27세28세29세30세31세32세33세34세35세36세37세38세39세40세
이(履), 우(羽), 규(奎)영(永), 담(覃), 현(賢)口빈(彬), 口대(大), 口영(英)口희(熙), 口인(仁), 口하(河)재(在), 환(煥), 인(仁)口용(鏞), 口배(培), 口열(烈)호(浩), 우(遇), 재(在)口구(九), 口윤(胤), 口흠(欽)병(炳), 남(南)口하(河), 口래(來)성(成), 재(載)口기(起), 口홍(弘)경(慶), 강(康)口신(新), 口재(宰)중(重), 병(秉)


6.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


  • 정종의 서자 임언군의 부인 영천군부인 고령 박씨
  • 경종비 단의왕후의 어머니 영원부부인(靈原府夫人) 고령 박씨 - 경종 국구 청은부원군(靑恩府院君) 심호의 부인, 경종의 장모

7. 집성촌

고령 박씨의 집성촌은 다음과 같다.[3]

고령 박씨 집성촌
지역상세
울산광역시울주군 범서읍 척과리
경기도이천시 율면 고당리, 양평군 서종면 딩배리
충청남도서천군 한산면 송산리
경상북도고령군 우곡면 도진동, 성주군 선남면, 성주군 월항면
경상남도의령군 궁류면 운계리, 합천군 용주면, 합천군 봉산면


7. 1. 대한민국

대한민국 주요 지역
지역상세
울산광역시울주군 범서읍 척과리
경기도이천시 율면 고당리, 양평군 서종면 딩배리
충청남도서천군 한산면 송산리
경상북도고령군 우곡면 도진동, 성주군 선남면, 성주군 월항면
경상남도의령군 궁류면 운계리, 합천군 용주면, 합천군 봉산면[3]


8. 문화재

고령 박씨 종중재실

9. 인구

연도가구 수인구 수
1985년8,541가구35,527명
2000년12,301가구39,239명
2015년43,774명



2000년 인구주택총조사에서 고령 박씨는 12,301가구, 총 39,239명으로 박씨 전체 인구의 1.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참조

[1]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19
[2] 웹사이트 관향별소개 1 페이지 {{!}} 신라오릉보존회 http://www.panparks.[...] 2022-09-04
[3] 웹사이트 박씨(朴氏) 본관(本貫) 고령(高靈)입니다. http://www.findroot.[...] 2022-07-27
[4]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